가계부 유의 사항
오늘은 가계부의 유의 사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가계부를 쓸 때 중요한 것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것을 지키지 않으면 원하는 재무에 달성을 하지 못하고 가계부를 써도 돈이 계속 세는 문제가 생깁니다. 이런 문제들을 막기 위해서 꼭 해야 하는 가계부 유의사항을 적어 보겠습니다. 우선으로 가계부는 빠짐없이 그리고 빠르게 작성을 해야 합니다. 메모나 메신저 앱을 통해서 가계부 쓰는 것을 추천한 이유도 똑같습니다. 돈을 쓰고 빨리 기록을 해야 잊어버리지 않습니다. 돈을 쓰고 나중에 써야지 미루게 되면 내가 얼마를 썼는지 어디에 썼는지 알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빠르게 쓰고 잊어버리기 전에 간편하게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 번째는 항목을 구체적으로 써야 합니다. 구체적으로 항목을 써야 내가 어디에 쓰는지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주로 나누는 구체적인 항목은 식비, 교육비, 고정비, 보험비, 세금, 여가비, 기타로 나뉩니다. 각각의 항목에 맞게 돈을 분류하고 가계부에 빠르게 기록을 해야 나중에 사용한 기록을 쉽게 찾고 늦게 기록하게 되면 돈을 쓴 것을 하나하나씩 찾아서 쓰다 보면 지루하고 지치게 되어서 가계부 쓰는 것을 멈추게 됩니다. 그러므로 꼭 가계부는 빠르게 그리고 빠짐없이 쓰길 바랍니다. 그리고 지출을 분석하고 방안을 꼭 마련해야 합니다. 돈을 어디에 쓰고 어떻게 쓰는지 방안을 마련해야 다음에 지출을 정하고 재정에 문제가 생기지 않습니다.
가계부 활용 방법
우리가 가계부는 단순하게 돈을 쓴 것을 적는 곳이 아닙니다, 가계부를 활용한는 방법을 모르면 단순한 기록으로 쓰게 됩니다. 단순한 기록을 쓰면서 내가 한 달 전에 얼마를 썼구나만 기억을 하고 가장 중요한 목표를 달성하는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가계부 활용하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우성 재정 목표를 적습니다. 내가 돈을 얼마를 모으고 싶어 하고 내가 돈을 얼마를 쓰고 싶어 하는지 적는 것이 중요합니다. 재정 목표는 단기와 장기로 나눠서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기적으로 얼마를 써야 하고 얼마를 모야하는지 적고 장기적으로는 3년 이후에 얼마를 모을지 적는 게 중요합니다. 그리고 여유가 된다면 3년 동안 얼마를 쓸지도 예측을 해서 적는 것을 추천합니다. 단기 목표는 1년 이내로 잡을 수 있는 목표를 추천드립니다. 내가 얼마를 어디에 어떻게 써서 1년 동안 얼마를 모으겠다를 예측해서 쓰는 것이 됩니다. 보통은 결혼자금, 자동차 구입 비용 등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활용 방법으로는 지출을 관리하는 것입니다. 내가 어디에 돈을 쓰는지에 대해서 적는 것입니다. 내가 100만 원을 이번달 동안 어디에 쓰는지 알아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할인쿠폰이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을 꼭 적으셔야 합니다. 평소에 택시를 많이 탄다고 하면 대중교통으로 얼마나 치환이 가능한지 알아보고 음식이나 배달을 시킬 때 얼마나 활인을 받는지 알고 가계부를 작성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가계부 적기가 막막하다면?
가계부를 처음 적는게 힘든 분들이 많습니다. 한 번도 해보지 않은 것을 하는 게 쉽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나름 가계부를 적는 팁을 드리겠습니다. 가장 편한 것은 SNS나 메모앱을 이용해서 쉽게 적는 것입니다. 가계부 적기가 막막해서 어떻게 적어야 할지 모르는 분들을 위해서 가장 많이 쓰는 메신저 앱을 추천합니다. 거기에 내가 쓴 금액을 적고 옆에 분류를 적어 놓으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치킨 20,000원 (식비) 이렇게 적어 놓으시고 내가 음식에 돈을 쓸 때마다 식비를 누적해서 적으면 됩니다. 식비 누적이 점차 커지게 되면 내가 한 달 동안 식비에 얼마를 사용했지는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가계부 작성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입니다. 습관을 기르기가 힘들겠죠? 그래서 카드를 사용할 때마다 알람이 뜨도록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러면 내가 가계부를 적을 때 알람을 보고 어디에 썼는지 그리고 얼마를 썼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쉽게 알 수 있어서 빠르고 정확하게 가계부를 쓰게 되면 지치지 않고 가계부를 적는 습관을 만들 수 있습니다. 세 번째는 가계부를 적으면서 막막하지 않게 분석을 하는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많들어 놓은 엑셀이나 가계부 앱을 보면서 따라 해서 해보시면 막막함이 없어집니다. 벤치마킹을 통해서 남들은 어떻게 가계부를 썼고 남들은 어떻 항목을 넣었는지 분석하고 거기에 이어서 얼마나 돈을 썼는지 알아보시면 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